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http://news.naver.com/sports/new/beijing/read.nhn?ctg=photoNews&oid=307&aid=0000000051

병실을 뒹굴며 울부짖는 한 ‘아이’가 있다. 이 아이는 조금 전 의사로부터 척추를 다쳐 하반신이 마비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 다시는 걸을 수 없고 3개월 정도 재활운동을 하면 사회(학교)에 복귀할 수 있을 거라는 조언과 함께. 허나 이 아이는 여자친구를 포함한 학교 친구들을 내쫓고 자신을 도우려는 간호사의 손길을 거부하다가 병실 바닥에 소변을 누고 만다. 그러고는 중얼거린다. ‘난 끝났어. 이제 난 평생 혼자 살 거야.’

NBA 최고 스타인 코비 브라이언트가 꿈인 이 아이는 며칠 전 다니던 고등학교 농구부 코치와 싸우고는 문을 박차고 나와버렸다. 돈을 벌어 여자친구와 함께 도쿄에 갈 생각에 가족들에게 일을 할 거라 했다가 아버지와도 싸운다. 그렇게 집을 나와 바이크를 타다가 미끄러져 사고가 났다. 고등학생인 겐타 고바야시는 그렇게 장애인이 되었다.

흔히 그렇듯, 겐타는 장애인이, 겐타의 가족은 장애인의 가족이 될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다. 어머니는 바이크를 사준 아버지를 원망하고, 여동생은 병원비와 휠체어가 다니기 좋도록 집을 고치는 비용 때문에 가고 싶은 사립학교에 가지 못하자 어머니와 오빠를 원망한다.

무엇보다 겐타는 여자친구인 오타 가오리에게 등을 돌리고 마음의 문을 닫고 만다. 하지만 언제나 기회는 있는 법. 마지못해 재활치료를 받던 어느날 겐타는 체육관에서 휠체어농구를 보게 된다. 그때 마코토를 처음 만난다. 마코토는 자신과 같은 장애인이지만 얼굴은 활기로 가득했다.

이를 계기로 겐타는 휠체어농구를 시작하게 된다. 다시 학교에도 나가기 시작하고 친구들과도 어울리게 된다. 이 즈음 가족들도 달라진 모습을 보인다. 철물공장을 하는 아버지는 어머니와 직접 경기용 휠체어를 만들고, 여동생 역시 오빠를 보는 시선이 달라지기 시작한다.

겐타가 마음을 결정적으로 바로잡은 건 자신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면서다. 어느날 교실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오줌을 싸게 되고 친구들이 이를 놀리자 학교를 나와 집으로 와버린다. 친구들에게 실망한 겐타에게 아버지는 말한다.

“넌 네가 특별하다고 생각하니? 잘못을 했으면 친구들에게 사과하거라. 네가 먼저 미안하다고 하렴.”

장애인들을 위한 가장 큰 배려는 다른 사람과 똑같이 대하는 것이다. 거꾸로 말하자면 장애인이 마음의 장애를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다른 사람과 똑같이 생각하는 것이다. 이것이 재활과 자립의 첫 걸음이다. 겐타는 선생님이 일본의 국민작가 나쓰메 소세키를 소개하는 바로 그 순간에 교실문을 열고 아이들에게 미안하다 말하고 고개를 숙인다.

겐타는 이제 더 이상 ‘아이’가 아니다. 자신의 꿈과 미래를 생각하고, ‘지금 이 순간’ 최선을 다 하는 멋진 젊은이다. 겐타는 여자친구 오타의 집에 찾아가 오타에게 휠체어농구 경기가 있다고, 자신은 경기를 뛰게 될지 잘 모르겠지만 네가 오면 좋겠다고 말하고는 그 끝에 사랑을 고백한다.

기타큐슈 이글스와 오이타 로키스의 전일본휠체어농구대회 결승전. 가족과 친구들은 벤치에 앉아 있는 겐타를 열렬히 응원하고, 대회 내내 단 한 게임도 뛰지 못했던 겐타는 한 선수의 5반칙 퇴장으로 출전기회를 얻는다. 쟁쟁한 선수들의 위세에 눌려 움츠려들려는 순간, 입학시험을 포기하고 경기장을 찾은 오타와 눈이 마주친다. 곧 겐타의 활약이 시작된다. 겐타가 던진 마지막 슛은 링을 맴돌다 기대와 달리 바깥으로 튕겨나오고 경기는 끝난다.

인생은 한 번 뿐이지만 기회란 그렇지 않다.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길, 내 의지와 상관없이 들어선 그 길에도 기회는 있다. 하지만 그걸 찾고 다듬고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각자의 몫이다. 다행스럽게도, 겐타는 휠체어농구를 통해 그 기회를 찾았다. 그러고선 말한다. 두 번째 기회란 늘 있는 거라고.

2005년에 열린 제9회 부천판타스틱 영화제에서 상영된 이 작품은 아쉽게도 지금은 만나기 어렵다. 대신 <슬램덩크>의 작가 이노우에 타케히코의 만화 <리얼>이 나와 있다. 내용이 약간 다르고, 아직 완간되진 않았지만 스스로에 대한 애정과 다른 사람과의 소통으로 장애를 극복한다는 대략의 얼개는 같다. <리얼>의 주인공 노미야의 독백이 인상적이다.

“지금의 그 얼굴은 키요하루 자신이 만들어낸 가면처럼 보여, 더 이상 상처받지 않기 위해…, 사람들이 자신에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