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종어가를 둘러보고 안내판에 있었던 것처럼 관음송으로 갔습니다.
소나무 숲의 한 가운데에 우뚝 서 있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관음송으로 가는 길은 온통 소나무 뿐입니다. 숲 자체가 소나무 숲이니 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 속 소나무가 바로 관음송입니다.(사진이 모두 어둡게 나왔군요;;;)
영월 청령포의 관음송은 천연기념물 제349호입니다.

관음송 앞에 있는 안내판에 적혀있는 글을 보면
"이 소나무는 높이 30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가 5m이며,
지상 1.2m 높이에서 두 가지로 갈라졌고, 갈라진 두 가지의 밑둘레는 각각 3.3m와 2.95m이다.
나무의 나이는 확실하지 않으나 조선 단종(1441~1457)이 유배생활을 할 때
이 나무의 갈라진 틈 사이에 앉아서 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어서
약 600년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 후략- "라는군요.
참고로 단종이 유배되었을 당시의 수령은 80년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냥 지나칠 수 없죠. 민경이와 엄마의 기념사진.
민경이는 자기 키만한 우산을 계속 들고다닌다고 고집을 부립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전 사진과 다른 각도에서 찍은 관음송입니다. 보기가 훨씬 좋군요.
이전 사진은 해를 바라보고 그림자 안에서 찍어서 한참 더 어둡게 나왔던 것 같네요.
그나마 이 사진이 관음송을 제대로 담았군요.

'관음송'이라는 이름은 청령포의 역사와 관련이 있답니다.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조선의 제6대 왕인 단종이 숙부인 세조(수양대군)로부터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유배된 곳이 바로 이곳 영월 청령포죠.
단종은 눈물과 비애, 그리움, 외로움 속에서 처소 바로 옆에 있는
이 소나무에 걸터앉아 마음을 달랬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단종의 모습과 슬픈 말소리를 보고(볼 ) 듣고(들을 ) 했다 하여
 '관음(觀音)'이란 이름이 붙여졌다는 것이다.

이렇듯 단종의 원통하고 억울한 영혼이 깃든 관음송은 보통의 소나무 이상의 의미죠.
단종의 사후 관음송은 영월의 민중들에게는 하나의 신령스러운 나무가 됩니다.
이후 관음송은 국가가 위기에 닥칠 때마다 껍질이 붉으스레한 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해
그 변고를 알려주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마을 사람들은 관음송을 더욱 소중하게 여기고
있죠.
 (이 곳에서 발췌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 가지로 갈라진 관음송의 모습을 조금 당겨서 사진에 담아봤습니다.
이렇게 큰 나무는 전체를 하나의 사진안에 담기가 참 힘들더군요.
더군다나 숲 속에서 다른 소나무들과 한데 어울려있다보니 더욱 그렇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관음송 주변의 송림입니다. 숲 안으로 들어갈수록 더욱 운치가 깊어지더군요.
다음은 단종이 부인과 도성을 생각하며 올랐었다는 망향탑과 노산대를 둘러보죠^^
,